서울 망우역사문화공원에서 소설가 최학송 선생 86주기 추모제 열려
김수종 | 기사입력 2018-07-19 11:21:03

[서울타임뉴스-김수종 기자]서울 중랑구 망우리공원에는 한국근현대의 역사와 독립운동, 정치, 예술, 의학, 스포츠 등을 풍미하고 격랑의 시절을 보낸 60여명 위인들의 무덤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부르고 있다.

지난 14() 오전 11시 우리 빈궁문학의 최고봉인 소설가 서해 최학송 선생의 86주기 추모제가 관계자 8명이 모인 가운데 열렸다.

함께한 8인은 최학송 묘지 관리인으로 부르는 정종배 시인, 망우리 사잇길과 인문학 길을 만든 수필가 김영식 작가, 여행칼럼니스트 김수종 작가, 구지옛생활연구소 한철수 소장,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망우리위원회 최기창 위원, 김승종 연성대교수, 박수만 중랑청소년문화발전위원회 사무국장, 이현배 중랑구의회 전의원이다.

이날 추모식은 헌작과 음복 그리고 토론회 순으로 이어졌다. 헌작은 초헌관 정종배 시인, 아헌관 김승종 교수, 종헌관 김영식 작가가 잔을 올렸다. 이어 최학송 묘역에서 음복과 더불어 한 시간 넘도록 자유토론을 통해 서해의 일생과 서해 기념사업회의 미래를 논했다.

이날 추모식을 주도한 정종배 시인은 유족이 북한에 있어 그들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다. 북한잡지 조국19859월호에 수록된 아들 최택의 생활의 결론-소설 탈출기의 저자 최서해의 회고이라는 글을 찾았다.”“‘문학사상’ 20103월호에 이글이 특집으로 실렸다. 이를 찾아내 북한에 있는 유족의 생활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고 했다.

정종배 시인은 중앙대 곽근 교수와 17년 전 묘역을 처음 발견해 문학계에 알렸다. 이후 인연이 되어 무덤을 돌보고 4년 전부터 추모제를 열고 있다. 문학사상에 실린 최학송 선생의 아들 최택의 회고에 따르면 할아버지, 아버지, 자신 3대가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할 정도로 궁핍했다.

아버지가 먼저 죽고 이어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나자 고아로 거지로 전라도 영광, 서울 등으로 떠돌았다. 해방이 되고 47년 38선을 넘어 고향과 친척들이 있는 북으로 갔다. 최택은 개성을 거쳐 평양에 들어가 아버지를 기억하는 몇몇 지인을 통해 49년 김일성종합대학 예비과에 19세에 입학했다.

계속 공부하여 준박사가 되었다. 나중에 평양사범대학(김형직사범대학)학장으로 활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최서해의 대표작 탈출기는 신상옥 감독이 북한에 체류하고 있던 1984년 신필림영화촬영소에서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서해 최학송은 1901년 함북 성진군 임명면에서 빈농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너무나 가난한 삶으로 소학교도 제대로 다니지도 못했다. 독학으로 글을 익히고 청춘’ ‘학지광등에 발표하면서 문학의 꿈을 키웠다. 춘원 이광수를 만나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짧은 31년의 인생 중에 글을 쓴 기간은 겨우 8년이지만, 6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22세 되던 해에 서해(曙海.아침바다)’라는 호를 사용했다. 그의 대표작으로 <탈출기> <홍염> <십 삼원> <살려는 사람들> <박돌의 죽음> <기아와 살육> 등 우리의 빈궁문학을 대표한다.

그는 경험하지 않은 것은 쓰지 않는다라 할 정도로 자신이 겪은 일들을 소재로 창작했다. 19326월 위문협착증으로 관훈동 삼호병원에 입원한 뒤, 79일 의전병원으로 옮겨 대수술을 받았다. 수술 경과가 좋지 않아 과다출혈로 수술 이틀 만에 31세로 사망했다. 723일에는 서울 백합원에서 최서해유족구제발기회가 결성됐다.

1933년에 생전의 동지들이 주축이 되어 견지동 시천교당에서 추도식이 열었다. 이듬해 6월 미아리 묘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후 묘지는 1958년에 망우리공동묘지로 이장되어 오늘에 이른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