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

등록
1. 경상북도 임신․출산 지원사업 |
주기별 | 사업명 | 사업내용 | 비고 |
임신준비 |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 ◦ 20⁓49세 모든 남녀 ◦ 여성 여성 생식기 초음파 및 난소기능 검사 및 남성 남성정액검사 지원 ◦ 주기별 1회, 최대 3회까지 - 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 | |
난임시술비 지원 | ◦ 법률혼 또는 사실혼 관계의 난임부부 ◦ 난임시술비 및 약제비지원 - 신선배아 150만원, 동결배아 70만원, 인공수정 40만원 | ☞ 남성난임은 정부협의 후 100만원까지 지원(도 자체 사업) | |
냉동난자사용보조생식술 | ◦ 냉동난자를 임신출산을 위해 사용한 부부(사실혼 포함)◦ 냉동난자 해동비, 체외수정 신선배아 시술비 및 약제비(회당 100만원, 2회) | ||
영구적불임예상동결보존비지원 | ◦ 영구불임이 예상되어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남녀◦ 생식세포(정자 난자) 냉동 보존비 - 여성 200만원, 남성 30만원 | * ‘25. 4월 시행 | |
한의약 난임 치료비 지원 | ◦ 도내 6개월 이상 거주한 난임부부 (사실혼 포함)◦ 침, 뜸 등 한방시술 지원(1인당 120만원) | *난임부부 시술비 중복 지원 불가 | |
임신중 | 출산 축하박스 지원 | ◦ 지역별 특산물을 포함한 육아용품(15만원) | *도 자체 지원 |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 | ◦ 도내 주소를 둔 35세 이상 산모 ◦ 임신당 최대 50만원 | *도 자체 지원☞ 정부협의 후 소급지원 |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 입원 의료비의 90%를 300만원 이내 | ||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 ◦ 만19세 이하 청소년 산모◦ 의료비 120만원 | ||
출산후 | 첫 만남 이용권 지원 | ◦ 출생아 200만원(첫째), 300만원(둘째이상) |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 | ◦ 출산 후 산후조리비 지원 -(바우처) 5~40일 지원 -(본인부담금) 최대 15일까지 90% | *도 자체 지원 | |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다자녀가구◦ 기저귀 9만원/월, 조제분유 11만원/월 | ||
영유아 사전예방 지원 | ◦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난청검사 지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선천성대사이상 환아관리 및 보청기 지원 |
경상북도 보도자료
![]()
등록
![]()
등록
댓글 더 보기
댓글 새로고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