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질주 제동! 백악관 주요 포스트 정보력으로 사법부 적극 대응 무기력 할것..
백악관 '전 세계 사법부 비리 등 불신 확실히 쥐고 있는 듯'...
설소연 | 기사입력 2025-03-23 09:03:49

[타임뉴스=설소연기자]미국 행정과 입법 권력을 장악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쇄신'이 계속되면서 연방 대법원, 그중에서도 존 로버츠(70) 대법원장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미 주요 매체들은 보수 성향인 로버츠 대법원장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판사 탄핵' 압박을 비판하는 성명을 낸 일을 계기로 로버츠 대법원장과 대법원의 향후 역할이 주목되고 있다.

[로버츠 대법원장과 악수하는 트럼프]=사진 연합뉴스=

로버츠 대법원장은 전시(戰時)에 적용되는 '적성국 국민법'을 동원한 불법 이민자 추방을 일시 중지하라고 명령한 연방 판사를 탄핵해야 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자 18일(현지시간) "지난 200년 이상 (법관)탄핵은 사법부 결정을 둘러싼 이견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아니라는 것이 입증돼 왔다"며 "그 목적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항소 절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로버츠의 이 같은 성명이 눈길을 끈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추방, 정부 조직 축소와 공무원 대규모 해고 등 핵심 국정 과제를 '전광석화' 처럼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법부 말고는 마땅히 견제할 세력이 없는 것과 무관치 않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료와 백악관 주요 포스트를 여당인 공화당이 다수당인 상·하원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는 목소리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물론 대법원 역시 로버츠를 포함해 보수 성향 대법관이 6명으로 진보 성향(3명)을 압도하고자 대통령의 주요 정책에 이견을 내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대법원은 작년 7월, 전직 대통령의 재임 중 공적(official) 행위에 대해 광범위한 형사상 면책 특권을 인정하는 결정을 내렸고, 그것은 트럼프 대통령 관련 형사 재판 절차를 사실상 중단시킴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제거했다.

로버츠 대법원장은 다른 보수 성향 대법관 5명과 함께 다수 의견을 형성하며 이 결정을 주도했다.

당시 소수 의견을 낸 3명 중 한 명인 소니아 소토마요르 대법관은 "전직 대통령의 범죄 혐의를 면책하는 것은 대통령직이라는 제도를 개조하는 일"이라며 "정적을 죽이라고 '네이비 실(Navy Seal·미 해군 특수부대) 팀6'에 명령하는 것도 면책, 권력을 지키기 위해 군사 쿠데타를 조직하는 것도 면책, 사면 대가로 돈을 받아도 면책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논란이 상당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연방 의회에서 연설할 때 현장에 자리한 로버츠 대법원장과 악수하며 "다시 한번 고맙다. 잊지 않겠다"고 말하자 작년 7월의 대법원 결정에 사의를 표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됐다.

보수 성향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자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법원 결정에 대해)목소리를 내면 낼수록 법원은 그의 요구에 더 저항하게 될지 모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사법부의 부패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라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는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의 언변과 비위 정보력으로 인해 미 사법부의 대응은 매우 수동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광역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청주타임뉴스충주타임뉴스제천타임뉴스단양타임뉴스보은타임뉴스증평타임뉴스음성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포항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도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천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울릉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고령타임뉴스성주타임뉴스경산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