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사람 중심 '성남형 도시 재생원주민 재정착률 높인다
서승만 | 기사입력 2019-01-05 05:31:0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상반기 수립…재개발 사업 시 소유주·세입자 임시거주 주택 마련 

반세기 전 성남은 불모의 땅이었다. 누구도 살고자 하지 않았던 땅, 그래서 서울 철거민을 강제이주시켜 형성된 도시. 성남은 그렇게 조금은 슬프게 탄생한 도시다.

그로부터 반세기, 이제는 “천당 아래 분당”, “대한민국 최고의 복지 도시”라는 말들이 회자될 만큼 누구나 살고 싶은 열망의 땅이 됐다. 

판교 실리콘밸리는 대한민국의 IT 산업 발전을 선도하며 국가미래성장동력을 만들어내는 발전소가 되었고, 전국 최초 청년수당, 차별 없는 보편적 아동수당 지급 등은 미래한국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는 성남에 터전을 잡고 살아가는 이들의 피땀 어린 노력의 결과물일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원도심과 신도심 간 격차는 점점 벌어져 도시를 양극화하는 부작용도 초래했다.

‘도시재생’은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의 일환으로써, 원도심에는 활력을 불어넣고, 신도심에는 성장동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성남시의 도시재생 정책은 ‘시민의 주거권’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어, 원주민의 정착률을 높임으로써 ‘사람 사는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다. 

성남시는 ‘2030년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올 상반기 중 수립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말 성남시는 한국주택토지공사(LH)와 ‘성남시 재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본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르면, LH는 성남시 재개발 사업 시행자로 참여 시 해당 구역 소유주와 세입자가 임시 거주할 수 있는 순환용 주택을 마련하게 된다.

전면 철거 후 재개발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사업구역 주민이 거주하도록 해 원래 살던 곳에 재정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이런 방식의 순환 이주 재개발사업이 추진 중인 곳은 LH가 시행하는 성남시 2단계 재개발사업 구역으로, 신흥2구역 21만 350㎡ 6488가구, 중1구역 10만 8423㎡ 3113가구, 금광1구역 23만 3366㎡ 7499가구가 해당한다.

이 중 4718가구의 소유자 및 세입자가 위례·여수지구에 마련된 순환용 공동주택으로 2016년 6월부터 2017년 10월 사이에 이주했으며, 이들은 재개발사업이 완료되는 오는 2022년까지 이곳에 거주하게 된다.

또한 주민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으로 활기찬 마을조성(태평2·태평4·수진2) 사업을 통해 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을 확충하고, 단독주택 밀집지역 마을관리사무소(마을주택) 운영지원 사업을 추진해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구역 내 단독주택 밀집지역에 마을관리사무소를 설치, 운영해 지역주민 불편 해소하고, 일자리 창출 및 체계적인 마을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민밀착형 도시재생사업이 되도록 추진해 나가겠다는 게 성남시의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개별적으로 태평2‧4 도시재생활성화 사업, 단대논골, 태평4-2 도시재생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노후 주거지 개선을 비롯한 열악한 정주환경을 개선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그 효과를 인근 지역으로까지 확산함으로써 모든 시민이 도시재생의 효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이러한 정책 방향을 통해 대규모 이주 수요 발생으로 원주민들이 재정착하지 못하고 밖으로 내몰리는 전면 철거방식의 재개발 사업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은수미 성남시장은 신년사를 통해 “도심지 주택가, 도로변의 심각한 주차난을 해소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갈현동, 수진동 등에 공영주차장을 대폭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개발 초기의 무리한 이주와 과도기의 혼란 속에서도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도시로 성장을 거듭해 왔다”며 “이제는 성장통이기도 한 지역 간 양극화와 불평등을 넘어 재도약과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성남시가 ‘사람 중심의 성남형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공통된 문제인 ‘도시재생’의 성공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성남타임뉴스=서승만 기자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