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총수들의 '내려놓기' ...경영과 견제 기능분리'글로벌 스탠더드'
서승만 | 기사입력 2019-03-06 23:06:30

[타임뉴스=서승만 기자] 최근 재계에서 총수들의 '내려놓기'가 주목받고 있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대표와 의장이 철저히 분리돼 있다. 대표이사는 경영을 책임지고, 이사회는 경영을 감시ㆍ견제한다.

조양호 한진회장 계열사 임원, 최태원 SK회장 이사회 의장직서 물러나

이재용 부회장도 사내이사 재선임 검토 안해…김승연 백의종군

정의선, 이사회 권한 등 축소…구광모는 사업 군살빼기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5일 한진칼, ㈜한진, 대한항공 등 그룹 내 3개 계열사 이외의 계열사 임원직을 내려놓기로 했다. 

조 회장이 한진그룹 지주회사 한진칼 2대 주주로 올라선 행동주의 사모펀드(PEF) KCGI와 국민연금의 그룹 지배구조 개선 압박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겸직 자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같은 날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지주사인 SK㈜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한다. 경영과 견제 기능을 분리하겠다는 최 회장의 의지로 해석된다.

재계에서 총수들의 '내려놓기'는 뺄셈의 경영을 통해 사회적인 책임과 니즈를 모두 충족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안팎으로 경영권 문제를 겪고 있는 그룹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 그룹들도 경영과 견제 기능을 분리하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거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역시 사내이사 재선임을 당분간 고려하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2016년 10월 임시 주주총회 때 사내이사가 된 이 부회장은 올해 10월로 사내이사 3년 임기가 만료된다. 삼성전자 규정상 이사 임기 만료 전에 재선임을 결정해야 하는데, 오는 20일 주총에 상정된 안건에서 재선임 여부 안건은 빠져 있다.

이 부회장은 경영과 견제 기능을 이미 분리해 글로벌 스탠더드를 따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월 주총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직을 분리한 바 있다.

SK그룹의 경우 SK텔레콤이 2012년부터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직을 분리했다. 

SK디스커버리는 최창원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오영호 전 KOTRA 사장이 이사회 의장을 각각 맡고 있다. 

이번에 최 회장이 SK㈜ 의장직에서 물러나면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에서도 같은 기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아예 대표이사를 맡지 않는 경우도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18일 집행유예가 만료, 그룹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 복귀가 가능해졌지만 김 회장은 백의종군의 길을 택했다. 

물론 그룹 오너여서 자리가 중요하지 않은 점도 있다. 대표이사를 맡지 않아도 충분히 총수 역할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은 자기만의 방식으로 뺄셈의 경영을 하고 있다. 올해 사실상 처음으로 경영권을 거머쥐어 주요 자리를 내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권위 의식만큼은 내려놓았다. 위에서 결정하면 아래에서 따라 하는 보수적인 현대차 스타일에서 벗어나기 위한 판단으로 해석된다.

그 첫 행보로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전기차 '넥쏘' 셀프 시승 영상 깜짝 공개를 통해 직원들과의 소통을 시작했다. 정장만 고집하던 딱딱한 근무 복장도 청바지와 티셔츠 차림으로 자율화한다. 인재 채용에서도 10대 그룹 중 처음으로 정기공채를 없앤다.

정 수석부회장은 이사회 권한도 스스로 축소했다. 사외이사 주주추천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해 현대차와 연관성이 낮은 3명의 외부 전문가를 사외이사로 선임하기로 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최근 사업 재편을 통해 뺄셈의 경영에 나섰다. LG전자의 연료전지 자회사를 청산하기로 한 데 이어 수(水)처리 관리ㆍ운영 자회사와 환경시설 설계ㆍ시공회사 매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자원과 시간이 한정된 상황에서 모든 일에 노력을 집중할 수 없는 만큼 불필요한 것은 과감히 버리고 꼭 해야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뺄셈의 경영 철학을 실천하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 총수들이 경영권과 이사회를 모두 장악하려 한 과거 관행에서 탈피해 철저하게 경영과 견제 기능을 분리하는 세계적인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며 "책임 경영과 함께 투명한 지배구조를 구축하지 않고는 더 이상 살아남기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 대기업 정책 압박에 대응의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의 대기업 정책에 대한 대응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총수와 그 일가에 집중된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 개선을 압박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결정이라는 분석이다. 

김상조 위원장이 취임한뒤 대기업 개혁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연말 ‘2018년 대기업집단 자발적 소유지배구조 개편 사례’를 발표하면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이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한 것을 모범사례로 들었다. 

다른 재벌 기업도 이처럼 지배구조를 개선하라는 요구를 공식화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월 주주총회 이후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 운영하고 있다. 

당시 권오현 대표이사 회장은 "균형 잡힌 이사회 운영으로 주주의 신뢰를 높이고, 이사회는 효율적인 의사결정기구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의 압박도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국민연금은 SK하이닉스의 지분 9.1%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지난해부터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은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 행사 강화를 천명해왔다. 

스튜워드코드 행사 여부를 판단할 때 지배구조 분야에서 19개 항목을 평가한다. 

여기에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 여부가 들어있다. 지배구조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이 대한항공 다음으로 주주권을 행사할 잠재적 후보군 중 하나로 SK하이닉스를 지목해왔다.

물론 정부가 이런 방침을 세운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이사회의 경영진 감시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087개 상장사 이사회에서 수정·부결·보류한 안건은 0.2%(41건)에 그쳤다. 

이사회가 경영진의 결정에 찬성만 하는 '거수기' 에 그친다는 비판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최근 이웅열 코오롱 그룹 회장이 그룹 회장직에서 전격 퇴진한 데 이어,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도 향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최고투자책임자(GIO)는 네이버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난데 이어 작년 3월 네이버 등기이사직도 내려놓기도 했다. 대기업 오너들의 ‘소유-경영 분리’ 기조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