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 연평균 5,000억 허공에...고가 매수·저가 매도로 국민연금 등 기관 2.5조 날려
국내 주식투자 규모가 100조원을 넘는 국민연금이 거래비용을 0.1%만 줄였어도 1,000억원을 아낄 수 있었다는 지적
우장기 | 기사입력 2019-06-27 23:33:17

[타임뉴스=서울 우장기 기자] 국민연금 등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주식거래를 하면서 낭비한 돈이 최근 5년간 약 2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비용을 절감하려는 노력 없이 주식매매를 하는 사이 외국인투자가는 선진기법으로 오히려 추가 이익을 거뒀다. 국민의 노후자금을 운용하는 국민연금 입장에서는 매년 아낄 수 있는 수천억원을 날린 셈이어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증권거래 '경쟁' 도입 안돼 둔감
해외투자때도 불필요한 손실
각종 수수료 혜택에 서비스 제공
美·유럽 등은 대체거래소 활발
"후진적 시스템 뜯어고쳐야" 지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연금을 포함한 연기금, 보험, 투신과 사모펀드 등 국내 기관의 총 시장충격비용은 2조4,600억원이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7,300억원으로 조사됐다. 시장충격비용은 매매 종목의 일 평균 체결가와 비교해 각 기관이 얼마나 비싸게 사고 싸게 팔았는지를 나타내며, 일종의 거래비용이다. 거래량이 많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불리한 가격에 사고팔 수 있지만 국내 기관이 외국인보다 매매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졌다는 의미다.

즉 기관들이 외국인보다 주식을 고가에 매수하고 저가에 매도하는 등 매매 단가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 연평균 5,000억원가량을 날린 셈이다. 국내 주식투자 규모가 100조원을 넘는 국민연금이 거래비용을 0.1%만 줄였어도 1,000억원을 아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위탁운용사 선정 기준에서 거래비용의 핵심 요소인 수수료는 100점 만점에 5점에 불과하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의 근본 원인을 ‘거래 체계’의 차이 때문으로 본다. 한국의 주식거래 체계가 독점 구조여서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되도록 하는 ‘최선집행의무’에 둔감해도 문제가 없었던 탓이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은 주식거래가 특정 거래소 한 곳이 아닌 여러 거래소에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주식 1,000주를 매수할 경우 A 거래소에서 700주, B 거래소에서 300주를 매수할 수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 주식 1,000주를 한국거래소 한 곳에서만 사들이면 되는 우리나라와 상황이 다른 것이다. 이러다 보니 거래별로 수수료 등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지난 1990년대부터 활발해졌고 정규 거래소가 아닌 대체거래소(ATS), 또 기관투자가 간 거래를 연결해주는 일종의 브로커인 '다자간매매체결회사' 가 발달했다. 

대체 거래소는 정식 거래소는 아니지만 매매 당사자 사이에서 거래를 체결하는 거래소의 기능을 한다. 투자자로서는 같은 주식을 거래소와 ATS 양쪽에서 모두 거래할 수 있다면 비용이 더 낮고, 거래 체결 시간이 짧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을 선택할 수 있다. 

실제 2005년 미국 캔자스에 설립된 대체 거래소인 BATS(Better Alternative Trading System)는 그동안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이 과점해온 미국 주식시장에 경쟁과 혁신을 불러왔다는 평가가 많다. 

이미 2015년 ‘월가’의 상징인 NYSE에서 거래되는 주식 비중은 23.8%, 나스닥은 17.9%에 불과하다. 그 사이 BATS는 설립 10년 만에 점유율을 21.2%까지 끌어올렸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증권거래소는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기술기업으로의 진화가 세계적인 추세”라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가 국내 최초로 제재 여부를 논의 중인 미국 시타델증권의 고빈도매매(HFT) 역시 매매 거래비용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거래 기법이다. 

경쟁적 거래 체계와 거래비용 최소화의 움직임은 최근 국내에서도 비중을 높여가는 알고리즘 매매와 고빈도 매매의 진화로 이어지고 있다. 장근영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시장충격비용을 최소화하고 시세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안된 것이 알고리즘 매매”라며 “이를 1,000분의 1초 단위로 극히 짧은 시간 안에 컴퓨터에 의해 거래가 이뤄지도록 발전한 것이 고빈도 매매”라고 설명했다. 거래 체계에 대한 고민 없이는 이 같은 선진 거래 기법으로 무장한 외국인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거래 체계에 대한 경쟁 도입은 금융투자업계에 새로운 먹거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남길남 자본연 연구위원은 “전통적 수익 부문의 침체로 증권사들의 비용 절감 압박은 매매 체결 비용의 감축 시도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주문의 내부 체결을 모색하거나 별도의 ATS 설립 유인이 커질 수 있다”며 “대안적 모델로 미국과 유럽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대형 거래소 그룹의 자회사로 ATS를 설립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