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자생력] '1년 이상 미취업' 청년 68만명...금융위기 수준 육박
청년 장기 미취업자 증가, 남자가 대부분 차지
이승근 | 기사입력 2019-09-17 22:58:37

[타임뉴스=이승근 기자] 일자리를 구하고 있지만 1년 이상 미취업 상태인 청년이 올해 6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령대(만 15~29세) 전체 인구의 7.5%에 달하는 수준이다. 성별로 따지면 남성이 전년 대비 5만명 늘었고, 여성은 1만명 감소했다. 청년 실업의 타격이 젊은 남성에 집중되는 모양새다.

15~29세 인구 중 7.5%...1년새 0.5%P 뛰어

16일 통계청의 ‘2019년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중 미취업 기간별 청년 미취업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1년 이상 미취업자’는 올해 5월 현재 68만명으로 전년(64만명) 대비 4만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따지면 2018년 7.0%에서 2019년 7.5%로 0.5%포인트(P) 올랐다. 인원과 비율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76만4000명·7.8%) 이후 가장 높다. 

통계청은 매년 5월 만 15~29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한다. 월별로 취업자·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 등을 조사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청년층만 대상으로 추가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이 조사에서 ‘최근 일자리를 그만둔 이후 또는 졸업·중퇴 이후 미취업 기간은 어떻게 됩니까’라는 질문을 던져서 미취업자를 집계한다. 취업 준비생과 실업자의 경계가 모호한 청년층의 특성을 고려한 질문이다.

이 때문에 미취업자는 ‘사실상의 실업자’를 의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또 1년 이상 구직활동을 했는데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은 장기 실업자를 의미한다. 학교 졸업이나 실직 이후 1년 정도는 일자리를 찾는 데 시간이 걸리는 일종의 ‘마찰적 실업’으로 볼 수 있지만, 구직 기간이 1년이 넘어가면 ‘구조적 실업’에 가깝기 때문이다.

장기 미취업자는 2017년 이후 전체 미취업자 증가의 대부분을 설명한다. 전체 미취업자는 2013년 132만9000명에서 2018년 148만7000명, 2019년 154만1000명으로 증가일로였다. 그런데 6개월 이상 미취업자는 2017년 3만4000명, 2018년 3만9000명, 2019년 4만2000명이 각각 늘어나면서 같은 해 전체 미취업자 증가폭 3만9000~5만4000명의 77.8~90.7%를 차지했다. 2017년 이후 청년 취업 문제가 질적으로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는 의미다. 

성별로 나눠보면 장기 미취업자 증가는 주로 남성에서 발생했다. 1년 이상 미취업 상태인 만 15~29세 남성은 지난해 26만6000명에서 올해 31만6000명으로 5만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1년 이상 미취업 여성은 37만4000명에서 36만4000명으로 1만명 줄었다. 1년 이상 미취업자 가운데 남성의 비중은 2015년 37.7%에서 2019년 46.5%로 8.8%P 늘었고, 여성은 62.3%에서 53.5%로 감소했다. 한 국책 연구기관 연구원은 "20대의 장기 미취업 문제가 남성에게서 집중적으로 일어났다는 의미"라며 "제조업 위축 등 산업 구조 변화가 원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