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잊지 말아야 할 이름이 있습니다”
홍대인 | 기사입력 2020-11-10 16:22:39
대전현충원 김주숙
얼마전 뉴스를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수인복을 입은 유관순 열사의 모습이 아닌 14살의 어린 유관순으로 추측되는 사진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는데, 유관순 열사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유관순 열사는 우리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는 독립운동의 대표적 인물 중 한 분이다.

유관순 열사의 생애를 살펴보면 1902년 12월 충남 천안에서 출생하였고, 17세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학년생으로 서울만세시위에 참여하고 고향에 돌아와 아버지와 마을 어른들과 아우내(병천)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징역 3년형을 받아 서대문 감옥에서 수감되었다

열사는 수감 중에도 3・1운동 1주년을 맞아 만세시위를 주도하는 등 옥중투쟁을 벌이다 모진 고문 끝에 1920년 9월에 옥중에서 순국하였는데 그의 나이 고작 18세에 불과하였고 올해는 순국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정부에서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으며, 2019년 국민의 올바른 역사관과 애국정신을 길러 민족정기를 드높이고 국민통합에 기여한 공적을 기리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로 서훈하였다

진부한 표현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유관순 열사와 같은 선열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우리의 오늘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유관순 열사처럼 우리 모두의 마음에 기억되는 분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분들도 많아 우리의 관심이 더욱 더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11월 17일을 순국선열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올해로 81번째를 맞이하게 되었다

11월17일을 순국선열의 날로 정한 이유는 우리의 아픈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1905년 11월17일은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압하여 강제로 체결한 을사늑약이 있었던 날이다.

을사늑약에 따라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였으며 이듬해인 1906년에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통감으로 취임하였으며 통감부는 외교뿐만 내정에까지 직접 명령, 집행하게 하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1907년 군대해산, 1910년 경술국치를 통해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을사늑약을 전후해 수 많은 분 들이 일제에 항거하다가 순국했기에 1939년 11월 2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제31회 임시총회에서 을사늑약 체결일인 11월 17일을‘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정하였다.

이후 광복 전까지 임시정부 주관으로 행사를 했고 광복 이후에는 민간단체에서, 1955년부터 1969년까지는 정부 주관의 기념행사가 거행됐으나, 1970년 이후에는 정부행사 간소화 조치로 정부 주관행사는 폐지되고 유족단체 주관의 기념행사만 거행됐다. 1997년 정부기념일로 복원되면서 다시 정부 주관행사로 거행되고 있으며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하고 있다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순국선열’들이 보여주신 희생과 공훈을 되새기면서 그 이름을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할 것이다. 역사를 기억하고 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한 노력은 이제 우리의 몫이다

이곳 대전현충원에는 약 3,700여분의 독립유공자가 안장되어 계신다. 이번 주말은 대전현충원을 방문해서 그 분들을 기리는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아름다운 가을 정취까지 덤으로 챙길 수 있을 것이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