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타임뉴스=김이환 기자] 지난 해 구미시(시장 김장호)는 구미의 재도약을 바라는 시민들의 염원과 믿음에 보답하고자 구미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고 경제주권 성장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구미시 산업정책 대전환을 위한 성장 기틀을 마련했다.
취임 직후부터‘경제회복과 민생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김장호 시장은 지역의 여건과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산업정책 방향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구미국가산단의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신성장 전략을 수립했다.
우선, 지역의 주력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혁신하기 위한 성장지향 산업전략을 추진하고, 반도체, 이차전지, 방위산업, 메타버스 등 첨단기술의 선제적 확보와 산업의 고도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첨단산업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며, 디지털 新기술을 미래전략의 핵심산업으로 삼고 추진했다.
▶‘성장 지향 산업전략’을 통한 산업 대전환 추진 글로벌 시가총액 10대 기업 중 6개가 테크기업*인 만큼 첨단기술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 중이며 향후 10여년 간 다양한 新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대규모의 신 시장을 형성 할 것으로 보고 있다. * Apple, MS, Alphabet(Google), Amazon, Tesla, Meta(Facebook) 첨단산업 가치사슬이 구성되면 장기간 지속되는 만큼 가치사슬 내 중요역할 여부가 지역산업의 지속성장을 좌우 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구미시는 대한민국 대표 산업도시의 명성을 이어 첨단산업의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성장 지향 산업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구미국가산업단지의 노하우를 이용한 첨단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에 구심점을 두고 있다. 국가산업단지의 인프라, 관련 기업의 집적화 등 구미만의 여건과 강점 통해 「첨단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반도체 소재부품의 생산기지 및 방위산업의 중심지로 지위를 공고히 하여 지역의 주력산업으로 육성 할 계획이다. 또한, 「구독형 BaaS 실증기반 구축사업」, 「반도체ㆍ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하이테크 롤 첨단화 지원 센터 구축사업」등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장비 구축과 기업지원 인프라 마련으로 이차전지 혁신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대형 국책과제 선정과 사업 추진으로 첨단산업 인프라 확대 첨단기술의 선제적 확보와 산업의 고도화는 지역산업의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만큼 이를 뒷받침 하기위한 R&D, 인재양성, 산업기반구축 등 첨단산업 지원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구미시는 지난해 대형 국책과제에 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인 참여와 대응으로 첨단전략 산업 분야에 총 9건 1,655억원의 공모에 선정되어 첨단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 첨단전략 산업분야 공모선정 사업 (1,655억)①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구축‧운영(200억원)② 홀로그램 핵심기술개발 사업화 실증 지원 사업(137억원)③ 반도체ㆍ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270억원) ④ 폴리에스터 해중합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사업(270억원)⑤ 산학협력사업(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 LINC 3.0, SW 중심대학)(755억원)⑥ 지역SW서비스사업화지원사업 외 3건(23억원) |
* 2023년 산학협력 주요사업 (5개 기관 / 9개 사업 / 190억원)①민군ICT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금오공대) ②Grand ICT연구센터 지원사업(금오공대)③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금오공대) ④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경운대)⑤조기취업형 계약학과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구미대 ) ⑥경북산학연융합촉진사업(산학융합원)⑦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LINC3.0)(금오공대,경운대,구미대) ⑧YES구미캠퍼스 운영 지원(구미대)⑨지역산업연계형 대학 특성화학과 혁신지원사업(경운대,대가대) |
연 번 | 사 업 목 록 | 사업비 | 내 용 | |
총사업비 | 구분 | |||
합계 | 7건 | 2,100억원 | (국비) 1,100억원(지방) 740억원(민자) 260억원 | |
1(공모예정) | 차세대 고효율 전력 반도체 실증센터 구축 | 340억원 | (국비) 250억원(지방) 90억원 | 실증지원 허브센터 구축, 반도체 설계지원 |
2 | 서비스로봇용 전자융합부품 애자일(Agile) 제조 실증 기반구축 | 135억원 | (국비) 85억원(지방) 45억원(민자) 5억원 | Agile생산시설·장비구축,제품개발 및 생산공정 지원 |
3(공모예정) | 배터리 활용성 증대를 위한 BaaS 실증기반 구축사업 | 350억원 | (국비) 100억원(지방) 100억원(민자) 150억원 | 재사용 배터리 성능․안전성 검증을 위한 시설․장비 구축 |
4(공모예정) | 하이테크롤(High-Tech Roll) 첨단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 220억원 | (국비) 100억원(지방) 100억원(민자) 20억원 | 롤투롤 장비 설계ㆍ성능평가를 위한 시설․장비 구축 |
5 | 방산항공우주용 탄소소재·부품 랩팩토리(Lab Factory) 구축사업 | 330억원 | (국비) 150억원(지방) 180억원 | 방산항공우주용 부품 시생산을 위한 시설․장비 구축 |
6 | 이차전지 육성 거점센터 구축사업 | 250억원 | (국비) 125억원(지방) 125억원 | 중대형 이차전지 소재․부품 실증테스트 지원 시설․장비 구축 |
7 | 자율 및 비자율주행차량 혼합류 주행을 위한 커넥티드 서비스 개발 및 실증사업 | 475억원 | (국비) 290억원(지방) 100억원(민자) 85억원 | 혼재 도로교통 상황 대응을 위한 협력 안전 기술개발 및 실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