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200페소 지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T.로 프라이스, 피델리티 인터내셔널, abrdn 등 대형 자산운용사는 미국 금리정책과 성장률 둔화, 약달러 가능성 등을 바탕으로 일부 신흥국 통화가 선진국 통화보다 강할 것으로 봤다.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신흥국 통화지수는 올해 초 급등락을 거쳐 2월 말 대비 1.3% 상승했다.특히 이 기간 콜롬비아(페소·+6.8%), 브라질(헤알·+6.4%), 칠레(페소·+5.36%), 멕시코(페소·+4.27%) 등 남미 통화와 폴란드(즈워티·6.81%), 헝가리(포린트·+4.5%) 등 동유럽 통화의 달러 대비 강세가 두드러졌다.투자자들은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신흥국들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 분기 연속 완화되면서, 점점 많은 신흥국의 실질 금리가 플러스로 전환하며 선진국들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 설명이다.특히 남미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며, 브라질·멕시코가 제공하는 실질 이익률이 각각 9.1%와 5%로 제로 금리에 가까운 미국이나 -5.6%인 영국과 대비된다는 것이다.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아문디는 이러한 배경하에 브라질 헤알화와 멕시코 페소화가 신흥국 화폐 랠리를 선도할 것으로 봤다.아문디의 에스터 로는 "실질 이익률이 높고 국제수지가 강력한 국가의 통화가 혜택을 볼 것"이라면서 "미국 은행권 우려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정책 여파가 더 명확해지면 신흥국 통화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abrdn의 에드윈 구티에레즈는 "대부분의 경우 이익률이 높은 통화의 움직임이 좋을 것"이라면서 미국 경제의 둔화와 기준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이른 점 등을 감안할 때 이들 통화에 대한 전망이 '건설적'이라고 평가했다.T.로 프라이스의 레너드 콴은 칠레·멕시코 통화 등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밝혔고, 피델리티의 폴 그리어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중단 신호가 나올 경우 달러가 약해지고 신흥국 통화는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다만 신흥국 가운데 남미 이외 지역 통화에 대한 관측은 엇갈리고 있다.인도네시아 루피아와 인도 루피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 전망이 나오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 등 일부 통화에 대해서는 부채 문제나 정치·외교적 불안정 등으로 인해 우려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