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

등록
[구미타임뉴스 이승근 기자]구미시는 지난해 도입한 ‘딸기 수직재배 기술’을 통해 본격적인 수확에 들어가며 농업 혁신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이번 수직재배는 생산성을 높이고 농가의 시설 투자비를 절감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추진됐으며, 기존 재배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수직재배 기술은 기존의 고설 재배 방식과 달리, 하우스 내 3~5단으로 쌓은 수직 재배 화분을 활용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시설하우스 면적을 30~40% 줄일 수 있어 부지 및 시설비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기존 고설 재배 베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대규모 개조 없이도 수직재배 시스템으로 전환이 가능해 농가의 초기 투자비용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해평면에서 이 기술을 도입한 박종섭 씨는 “시설 투자비 절감은 물론 생육 관리와 수확 동선이 줄어 농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며, “올해 2단 재배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3단 재배를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혁 구미시 농업기술센터소장은 “딸기 수직재배 기술은 지역 농업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스마트 농업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대 보급해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미시는 이번 수직재배 기술 도입을 통해 농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농업 모델을 제시하며, 지역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
등록
![]()
등록
댓글 더 보기
댓글 새로고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