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리아와 외교관계 수립…191개 유엔 회원국 수교 완결
김정욱 | 기사입력 2025-04-11 08:50:36

한-시리아 외교장관회담 [외교부 제공]
[청도타임뉴스] 김정욱 = 한국이 철권통치에 종지부를 찍은 시리아와 수교했다.

지난해 쿠바에 이어 시리아와도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북한을 제외한 191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수교하게 됐다. 유엔 회원국이 아닌 교황청, 니우에, 쿡 제도를 포함하면 수교국은 194개국에 이른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찾아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이로써 "그동안 북한과의 밀착으로 관계가 두절됐던 시리아와의 양자관계에 새로운 협력의 장이 열리게 됐다"고 외교부는 평가했다.

조 장관은 알-샤이바니 장관과 양자회담도 갖고 수교 이후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등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조 장관은 시리아의 안정과 번영이 중동 평화와 글로벌 평화에 중요하다며 한-시리아 수교를 바탕으로 한 양측 협력이 시리아 발전과 중동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특히 시리아의 국가 재건 과정에서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수할 의사를 밝히고, 제반 여건이 개선될 경우 한국 기업의 재건 활동 참여 가능성도 타진했다.

아울러 의약품, 의료기기, 쌀 등 인도적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시리아가 직면한 인도적 위기 대응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알-샤이바니 장관은 이에 사의를 표하면서, 대(對) 시리아 제재 완화를 위한 한국의 지원을 기대한다며 향후 시리아 재건 분야의 한국측 기여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자고 했다.

조 장관은 이어 아메드 알샤라 임시대통령을 예방하고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축출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해 신정부가 성공적으로 출범한 것을 축하했다.

또 시리아가 포용적 정치 프로세스 지속, 극단주의에 대한 단호한 대응, 화학무기 제거 등 국제사회 요구에 부응한다면 시리아 재건과 지속적 경제 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신정부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알샤라 대통령은 한-시리아 수교를 환영하고, 새로운 시리아의 출발에 한국 지지가 중요하다며 이번 수교를 통해 양국이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자고 전했다.

알샤라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반군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을 이끌고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을 몰아낸 뒤 권력을 잡았다. 시리아는 반군의 승리로 2011년부터 시작된 내전의 막을 내렸지만 경제가 무너져 재건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시리아 수교는 한국이 지난 2월 초 시리아로 대표단을 파견해 시리아 측의 수교 의사를 확인한 뒤 두 달 여만에 신속하게 완결됐다.

양국 수교가 순조롭게 성사된 배경에는 북한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알아사드 정권이 몰락한 점이 주효했다.

시리아는 북한과 1966년 수교한 뒤 반세기 넘게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나, 과도정부는 거리를 두고 있다. 시리아 주재 북한 대사관 외교관들도 아사드 정권이 무너진 뒤 전원 탈출한 것으로 알려졌다.연합뉴스news@timenews.co.kr

광역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청주타임뉴스충주타임뉴스제천타임뉴스단양타임뉴스보은타임뉴스증평타임뉴스음성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포항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도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천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울릉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고령타임뉴스성주타임뉴스경산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