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착과 무능, 방치 속 무너지는 영주문화관광재단
“이곳이 정말 공공기관인가”…개인 자격증 과정은 ‘출장’, 공채는 전직 동료가 ‘맞춤형 합격’ 공공 숙소는 지인 놀이터 전락…대표이사는 모르쇠
안영한 | 기사입력 2025-04-14 19:39:10

이 채용만은 필기시험이 면제된 특별 전형이었다. 인사위원회는 규정상 15일 전 구성이 원칙이지만, 8일 전 구성되고 면접위원 비율도 맞지않는 규정 위반이었다.

영주시 기획예산실

[영주타임뉴스] 안영한기자 = “결재받으러 갈 때면,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가 된 기분이었습니다.” 공공 조직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조직적 침묵과 무기력의 풍경을 대변하고 있었다.

재단이 소유한 숙소는 본래 체험형 유료숙박을 위한 공간이었다. 하지만 이 공간은 A간부와 B간부의 지인 접대 공간으로 수차례 사용됐다.

기록상 4차례 무단 사용이 있었고, 사용료는 단 한 푼도 걷히지 않았다. 더 큰 문제는 이후였다. 관련 사실이 드러나자, A간부는 담당 직원에게 “기록을 삭제해 달라”는 취지의 요구를 반복한 정황도 확인됐다.

“그 공간은 그냥 ‘내 사람들’이 쉬어가는 곳처럼 쓰였어요. 우리는 왜 쓰는지도 몰랐습니다.” 재단 내부의 전언도 있었다.

더 깊은 균열은 인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A간부와 B간부는 과거 직장 동료로 알려져 있으며, B간부는 2024년 10월 인사위원으로 활동한 뒤, 12월 채용 공고에 응시 최종 합격했다.

이 채용만은 필기시험이 면제된 특별 전형이었다. 인사위원회는 규정상 15일 전 구성이 원칙이지만, 8일 전 구성되고 면접위원 비율도 맞지않는 규정 위반이었다.

감사보고서는 이를 “인사 규정 무력화, 채용 공정성 심각 훼손”으로 지적했다. 하지만 이 과정의 최종 책임자인 대표이사는 인사위원장이었음에도 별다른 조치 없이 방관했다.

개인 자격증 취득을 위한 외부 교육을 출장으로 위장했던 이사회에서 이 사실이 지적되자, A간부는 그 자리에서 “그럼 연차로 대체하겠다”는 식으로 즉석 대응했다. 출장비는 청구되지 않았지만, 사적 일정을 공적 출장으로 처리하려 한 태도 자체가 조직 윤리를 뒤흔든 사건으로 평가된다.

감사 결과 실무 팀장은 징계를 받았지만, 핵심 책임자들은 ‘주의’에 그쳤다. 재단 내부에서는 “책임은 윗선인데, 왜 아랫사람만 희생되느냐”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직원들은 “이제 누구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일을 회피하는 분위기만 커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아래 직원들은, 오늘도 고개를 숙인 채 말한다. “우리는 그냥 일하고 싶을 뿐입니다. 말 한마디도 눈치 봐야 하니… 모든 게 멈춰 있는 느낌입니다.”

시민사회는 묻는다. “이제는 감사가 아니라 경찰의 수사가 필요하다. 이건 실수가 아닌, 구조적 비리다. 제 식구 감싸기로 끝날 일이 아니다.”

영주시 기획예산실

영주시 기획예산실

영주시 문화관광재단 관련 제보전화 054-635-1231 제보메일 news@timenews.co.kr 

광역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청주타임뉴스충주타임뉴스제천타임뉴스단양타임뉴스보은타임뉴스증평타임뉴스음성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포항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도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천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울릉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고령타임뉴스성주타임뉴스경산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