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경제 활성화의 돌파구,...김병창 의원 발의 ‘경제상생위원회’ 조례 통과
‘민관 협력’으로 지역 경제 발전 가속화… 청년 정치인의 혁신적 접근
안영한 | 기사입력 2025-06-02 08:27:24

김병창(국민의힘) 시의원
[영주타임뉴스] 안영한 = 영주시의 젊은 정치인 김병창(국민의힘) 시의원이 발의한 ‘영주시 지역경제상생위원회 구성 및 운영 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서, 지역 경제에 대한 민관 협력 모델이 현실화됐다. 이번 조례안 통과는 영주시 경제를 재편성하고, 시민과 기업, 공공 부문이 공동으로 경제적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평가된다.

김병창 의원은 "시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지역 경제의 발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조례를 통해 영주시는 경제적 상생을 이루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경제상생위원회, 지역 경제 혁신을 위한 ‘핵심 기구’로 자리잡다

‘경제상생위원회’는 영주시의 경제적 발전을 위한 핵심 기구로, 시정부와 지역의 기업, 전문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경제 정책을 협의하고 실행하는 구조다. 위원회는 단순히 정책을 논의하는 자리에 그치지 않고, 각 분야별 실무위원회를 통해 현장 중심의 정책 실현을 목표로 한다.

조례의 핵심은 ‘실효성 있는 협치’를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형 거버넌스모델이다. 위원회는 지역의 주력 산업을 발굴하고, 청년층의 취업 및 창업, 중소기업의 성장 지원 등을 중요한 의제로 삼고 있다. 특히 세대와 성별을 아우르는 정책을 강조하며, 다양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김 의원은 "경제상생위원회는 영주시의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구축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실행의 장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영주가 경북을 넘어 전국적인 경제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창 의원, 시민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 정치인

김병창 의원은 영주시의회에 입성한 이후 실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낸 의원으로 자리매김했다. 그가 발의한 조례들은 단순히 이론적인 틀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김 의원은 ‘소규모 공동주택 관리 조례’, ‘반려동물 보호 및 유기동물 관리 조례’, ‘e스포츠 진흥 조례’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사회의 필요를 반영한 입법 활동을 전개해왔다. 특히 SNS와 디지털 소통을 적극 활용하여 시민들과의 소통 창구를 확대하고, 시민들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참여적 정치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그는 "정치란 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며, "시민들이 느끼는 고충을 직접 듣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고민하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의 ‘주민 밀착형’의정활동은 그의 정치적 신뢰를 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영주, 경제 상생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다

김병창 의원의 경제상생위원회조례안 통과는 단순히 지역 경제의 발전을 위한 첫걸음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지역 주민과 기업, 시 정부가 함께하는 공동의 비전을 제시한 중요한 시도로, 향후 영주시 경제를 선도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번 조례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다른 지방 자치단체들에서도 민관 협력의 경제 모델을 채택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김 의원은 "영주의 미래를 책임질 정치인은 시민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성장과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의정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창 의원의 발의로 탄생한 경제상생위원회는 이제 영주시의 경제 발전을 이끄는 핵심 기구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그의 혁신적 정치적 접근은 영주시를 넘어, 전국적인 변화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광역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수원타임뉴스과천타임뉴스광명타임뉴스고양타임뉴스파주타임뉴스김포타임뉴스부천타임뉴스의정부타임뉴스포천타임뉴스양주타임뉴스동두천타임뉴스연천타임뉴스남양주타임뉴스구리타임뉴스안양타임뉴스시흥타임뉴스군포타임뉴스용인타임뉴스오산타임뉴스화성타임뉴스평택타임뉴스안성타임뉴스성남타임뉴스경기.광주타임뉴스하남타임뉴스이천타임뉴스여주타임뉴스양평타임뉴스안산타임뉴스의왕타임뉴스가평타임뉴스원주타임뉴스동해타임뉴스양양타임뉴스속초타임뉴스강릉타임뉴스강원,고성타임뉴스인제타임뉴스양구타임뉴스철원타임뉴스화천타임뉴스춘천타임뉴스평창타임뉴스정선타임뉴스영월타임뉴스태백타임뉴스횡성타임뉴스삼척타임뉴스청주타임뉴스진천타임뉴스음성타임뉴스증평타임뉴스영동타임뉴스옥천타임뉴스보은타임뉴스단양타임뉴스제천타임뉴스충주타임뉴스괴산타임뉴스천안타임뉴스당진타임뉴스서산타임뉴스금산타임뉴스논산타임뉴스계룡타임뉴스홍성타임뉴스청양타임뉴스서천타임뉴스보령타임뉴스예산타임뉴스부여타임뉴스공주타임뉴스연기타임뉴스아산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포항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도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천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울릉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고령타임뉴스성주타임뉴스경산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창원타임뉴스양산타임뉴스함양타임뉴스산청타임뉴스거창타임뉴스창녕타임뉴스의령타임뉴스밀양타임뉴스김해타임뉴스하동타임뉴스진주타임뉴스남해타임뉴스사천타임뉴스경남,고성타임뉴스통영타임뉴스거제타임뉴스함안타임뉴스진해타임뉴스합천타임뉴스전주타임뉴스부안타임뉴스정읍타임뉴스무주타임뉴스장수타임뉴스임실타임뉴스순창타임뉴스남원타임뉴스군산타임뉴스익산타임뉴스진안타임뉴스완주타임뉴스고창타임뉴스목포타임뉴스나주타임뉴스함평타임뉴스영광타임뉴스장성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구례타임뉴스고흥타임뉴스보성타임뉴스무안타임뉴스진도타임뉴스완도타임뉴스해남타임뉴스신안타임뉴스강진타임뉴스장흥타임뉴스영암타임뉴스화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