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

등록
광주시는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지원금 500억 원과 편익시설 설치비 800억 원 등 총 10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시하며 자원회수시설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삼거동 주민행복지원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인접 지역인 함평군 주민들은 “청천벽력"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삼거동과 불과 수 킬로미터 떨어진 월야면 주민들은 “광주시민도 아닌 우리가 왜 광주의 쓰레기를 옆에서 태워야 하느냐"며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함평군 월야면, 해보면, 나산면 등 삼거동과 인접한 지역 주민들과 사회단체들은 소각장 건립을 전면 반대하며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함평군 사회단체협의회 오민수 회장은 “소각장이 들어서면 RE-100 국가산단, 신도시, 데이터센터 등 함평의 미래 전략사업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입주 기업도, 주민도 외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시는 소각장 건립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평군 주민들은 삼거동 주민설명회에 맞춰 집결, 직접 항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해보면·나산면 사회단체들과의 연대 행동도 예고하고 있다.이에 대해 광주시는 “삼거동은 과학적 검토 결과 최적지로 판단됐다"며 “절차에 따라 주민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인접 지역인 함평 주민들에 대한 별도 설명회나 소통 계획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소각장 건립 여부는 환경부의 허가 절차를 거쳐야 하며, 광주시는 올해 안에 입지를 확정하고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함평군과의 갈등이 지속될 경우 사업 자체가 표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이번 사안은 단순한 지역 개발 이슈를 넘어, 인근 주민들의 생존권과 환경권 문제로 비화되며 광주시의 자원회수시설 추진에 중대한 분수령이 되고 있다.
![]()
등록
![]()
등록
댓글 더 보기
댓글 새로고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