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융복합 탄소성형 클러스터 조성’예타대상 사업 선정
구미, 특화단지조성 661천㎡, 5천억원 국책사업 유치 파란불
황광진 | 기사입력 2015-04-20 15:49:02
【경북타임뉴스】황광진= 경북도는 지난해 10월 29일 신청한‘융복합 탄소성형 부품산업 클러스터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2015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4월 20일 밝혔다.

본 사업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사업비 총 5,000억 원(국비2175, 지방255, 민자2570)이 투자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구미 하이테크밸리내(5국가산업단지) 661천㎡(20만평)에 들어서게 된다.

세부사업 내용은 우리나라 탄소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9.9천㎡(3천평)규모의 상용화시험・평가・인증센터와 리사이클링 센터, 탄소복합재 부품기업 집적단지, 종합기술지원, R&D핵심 전략기술 13종의국산화를 돕고,

구미 하이테크밸리에 경북도내 탄소관련 2,434업체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One-stop 제품 상용화 지원시스템 구축으로 탄소산업 대도약의 발판을 마련해 정부의 탄소산업 세계 4강(現8위) 도약 전략에 동참하게 된다.

본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북도, 구미시가 참여하고 한국화학연구원이 주관기관으로 추진해 오다 정부의 탄소산업 거점별 특화육성 방침에 따라 경북도・전북도 공동으로 추진하게 된다.

이에 맞춰 오는 4월말까지 추가 기획과정을 거쳐 지역별 탄소산업 연구거점 및 지원인프라 구축 사업의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정부는 탄소산업 지원정책으로 전주 탄소밸리 구축사업(1,991억원, 2011~2016년)을 시작으로 범부처 차원에서 여러 과제를 추진해 왔다.

이번 타당성 조사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전문 연구진의약 6개월간 현지실사를 거쳐 비용편익분석 결과를 토대로 올해 하반기에구체적인 계획이 최종 확정되고, 사업시행은 2016년도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탄소소재산업은 초고온, 고강도, 고전도성,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어 기존 소재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21세기 꿈의 신소재로 급부상하는 산업분야로 최근 세계 탄소산업 수준은 아직 시작단계로 미국, 일본, 독일 등 특정국가만이 상용화를 되고 있어 선제적 기술개발과 수요 창출 시 미래성장 가능성은 매우 큰 상황이지만 일부 선진국이 기술을 독점하고 있어 시장진입 장벽이 높은 분야다.

- 시장전망(한국) : 12.6조원(‘10년)→ 46.3조원(20년) 연평균16%씩 성장예상

- 선진국대비 한국 탄소산업 기술수준 : 탄소섬유 60%, 인조흑연 30%

특히, 탄소산업은 전‧후방 효과가 크기 때문에 유럽을 중심으로 최근 탄소복합재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어 국가차원의 탄소산업 육성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찍이 경북은 탄소소재 세계1위 기업인 도레이첨단소재(탄소섬유)로부터 구미에 외자유치 4,250억원(2015~2021)을 확정하고 추가 투자계획까지 있어 본 사업의 전망이 매우 밝으며, 또한 이비덴(포항소재 인조흑연 기업)을 파트너로 투자유치에 성공해 국내 탄소산업 육성의 최적지로 떠오르고 있다.

경북도는 탄소성형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집중육성하기 위해 구미 유치에 올인 해 왔다.

그러나 예타 대상사업 선정과정에서 양 지역 간 창조혁신센터 핵심사업과맞물려 난관에 부딪치자 정치권과 양 지자체가 합심 노력해 탄소성형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전북도가 공동참여하기로 합의를 이끌어 냈다.

그간 대상사업으로 선정되기 까지 과정에서 구미시乙 지역구 김태환 국회의원과 구미시甲 심학봉 국회의원이 함께 지역현안사업 유치에 힘을 합쳐 공동 대응하는 아름다운 선례를 남겼다.

특히, 이인선 경제부지사가 학계․연구기관․정계의 넓은 인맥을 활용해 사업의 필요성과 기술개발 시급성에 대해 발로 뛰며, 전 방위적으로 설득 노력해 경북도와 전북도간의 공동참여 합의를 이끌어 내는데 앞장섰다는 후문이다.

김관용 도지사는“이번 탄소클러스터 조성 예타 진행과정에서 자매결연 광역단체인 경북도와 전북도가 탄소산업 육성에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상생발전 협력모델을 만들어냈다는데 의미가 크다"며, “특히 한반도‘황금허리 창조경제권 구상’첫 사업 공동추진으로 산업 교류의 물꼬를 터 동서화합은 물론 국가 탄소산업 동반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