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까지 3710억원 벌어들인 수협, 연말 역대 최고치 경신 전망
김임권 회장 “공적자금 조기상환으로 수협 수익 어민 환원 서두르겠다”
홍대인 | 기사입력 2018-09-21 10:30:56

[대전타임뉴스=홍대인 기자] 지난해 4733억원의 세전이익을 달성한 수협이 연말까지 5000억원 돌파가 유력시 되고 있다.

만약 달성된다면 역대 최고 수익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수협에 따르면 중앙회와 회원조합 그리고 은행을 포함한 전체수협은 8월말 기준을 3170억원의 세전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 분

17년말

18년 8월

전년동기

비고

중앙회

340

226

255

단위 : 억원

수협은행

2,536

2,185

1,717

회원조합

1,857

1,299

1,149

합계

4,733

3,710

3,121

이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하면 약 600억원이 증가한 실적으로 이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말 5000억원 돌파가 무난할 전망이다.

수협은 2015년 초 김임권 회장과 취임과 함께 ‘강한 수협, 돈 되는 수산’을 비전으로 수익성 강화에 매진해온 결과 매년 역대 최고 수익 기록을 고쳐 쓰고 있다.

그 결과 2014년까지 연간 1300억원 수준에 머물렀던 전체 수협 수익규모는 그 이듬해부터 급격히 증가하면서 지난해말 기준으로 4733억원을 기록했다.

(세전 기준, 단위 : 억원)

구 분

취임전

취임후

취임 전후 대비

비고

14년

15년

16년

17년

증가액

증가율

(a)

(b)

(b)-(a)

(b)/(a)

중앙회

69

103

412

340

271

493%

수협은행

612

780

786

2,536

1,924

414%

회원조합

638

1,059

1,357

1,857

1,219

291%

합계

1,319

1,942

2,555

4,733

3,414

359%

불과 3년 사이 4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인 셈이다.

이 같은 수익규모 성장은 2016년말 단행된 사업구조개편을 계기로 급격히 이뤄졌다.

수협은행을 자회사로 분리해서 자본을 확충하고 이를 통해 변경된 BIS 기준을 충족하고자 이뤄진 사업구조개편작업을 통해 수협은행은 수익규모가 사업구조 개편 직후 4배 가량 늘어났다.

자본구조를 강화한 덕분에 총자산규모는 4조4천억원 이상 증가했고 특히 BIS비율이 4%포인트 이상 급등하는 가운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9%로 낮추는 등 수협은행은 건실한 중견은행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위: 억원, %, %p)

구 분

’16.11월말

(a)

’17.11월말

(b)

’17년말

증 감

(b-a)

수익성

세전당기순이익

605

2,398

2,536

1,793

성장성

총자산

279,297

323,553

319,739

44,256

원화대출금

211,411

243,921

244,574

32,510

원화예수금

161,299

208,638

206,980

47,339

건전성

고정이하여신비율

1.48

0.97

0.90

△0.51

자본적정성

BIS비율

11.09

15.10

14.56

4.01

2000년대 초반 정부로부터 공적자금을 수혈 받은데 이어 2016년 바젤III 적용 문제로 추가 지원이 필요했던 상황과 비교하면 극적인 변화다.

이처럼 경영이 크게 호전되면서 수협의 공적자금 상환 일정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당초 수협은 올해부터 공적자금을 상환키로 했지만 김 회장 취임 후 경영호조세를 이어간 덕분에 약정된 일정보다 1년 앞당겨 지난해 127억원을 상환했고 이어 올해 1100억원을 추가로 갚았다.

올해 8월말까지 수익규모를 고려할 때 내년도 공적자금 상환액은 금년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중앙회와 은행뿐만 아니라 회원조합들의 경영성과도 괄목할 개선을 이뤄냈다.

2014년 638억원 수준이던 91개 회원조합 전체 수익규모는 지난해 1857억원을 기록했다.

3년 사이 수익은 세배 늘었고 자기자본도 두배 가량 증가하는 등 수익성과 건전성이 대폭 개선되면서 지난해 회원조합 가운데 99%가 흑자를 달성하는 성과를 이뤘다.

수협은 강화된 경영기반을 토대로 바다모래채취와 해상풍력발전소 건립문제, 연근해어자원 고갈 등 어촌과 수산현안 해결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특히 2년 연속으로 연근해어업생산량이 90만톤대를 기록하는 위기 상황에 대응해 수협의 역할이 시급히 확대돼야 한다는 인식 아래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공적자금 상환 전까지는 수협은행의 수익을 어민 지원에 사용할 수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 IMF구제금융 당시 수협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지만 수협은 주식회사가 아닌 탓에 출연금 형태로 자금이 들어왔다.

이로 인해 배당과 주가시세차익 등 직접적인 현금 유출 없이 상환이 이뤄진 시중은행과 달리 수협은행은 현금으로 매년 원금을 갚아나가야 하는 불리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매년 은행이 벌어들인 수익에서 24%에 달하는 법인세를 공제한 후 중앙회에 배당이 이뤄진 후에 예금보험공사에 납입하는 절차를 거치면서 실질적으로 차입한 공적자금보다 2천억원 가량을 더 벌어들여야 하는 상황이다.

김임권 회장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국회에 조세특례 적용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법인세를 면제하면 그만큼 공적자금 상환을 앞당길 수 있고 어민을 직접 지원할 수 있는 시기도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적자금 상환이 완료되면 수협은행에서 발생하는 연간 3천억원 규모의 수익은 어민과 수산업을 위해 투자할 수 있게 된다.

김회장은 향후 △어자원 보호를 위한 자율적 휴어제에 참여하는 어업인 지원 △도서지역 등 낙도벽지에 어촌공동체를 보호육성을 통한 인구정착 기반 마련 △세계 각국으로 연근해어선 진출 등 세 가지 분야 매년 각각 1000억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구상을 제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수협이 매년 3천억원을 어민과 수산업에 쓴다면 그 효과는 엄청날 것"이라고 장담한다.

정부가 올해 잡은 전체 수산예산 2조1천여억원에 비하면 14%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 집행되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하루 빨리 공적자금을 갚아서 수협의 수익이 어민과 수산업을 위해 온전히 쓰일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가 지원해달라"며 호소하고 있다.

하반기 정기 국회를 맞아 수협은 조세특례 등 공적자금 조기상환을 위한 지원을 이끌어내 어민을 위한 수익 환원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