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진형민 교수,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논문 게재
이차전지 전극소재 소각산란 기반 나노기공정량 분석법 개발
홍대인 | 기사입력 2024-04-25 15:02:25
[대전타임뉴스=홍대인 기자] 충남대학교 유기재료공학과 진형민 교수팀과 고려대-KIST 윤영수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중성자/X선 소각산란을 이용해 이차전지 전극소재에 존재하는 나노크기의 기공을 정량 분석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충남대 진형민 교수는 해당 나노기공 정량 분석법을 활용해 리튬이차전지용 단결정 Ni-rich NCM 양극재 내 나노기공결함을 분석해 낸 데 이어, 차세대 나트륨전지용 하드카본(Hard Carbon) 음극재에서 나트륨이 저장되는 나노기공의 크기 및 비부피를 성공적으로 분석해 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 세계적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IF: 32.5, JCR 상위 0.4%) 3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논문 제목: Design guidelines for a high-performance hard carbon anode in sodium ion batteries

소재 내에 존재하는 기공은 형태에 따라 크게 외부에 노출된 열린기공(Open pore)과 소재 내부에 고립돼 존재하는 닫힌기공(Closed pore)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소재 응용 분야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기공의 종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소재의 표면반응이 중요한 촉매나 슈퍼캐퍼시터 등의 경우 표면에 노출돼 있는 열린기공이 주요한 역할을 하므로 열린기공만 분석해도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단결정 Ni-rich NCM의 경우 내부에 존재하는 닫힌기공 형태의 나노기공결함이 충·방전 과정에서 균열의 시작점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분석하고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는 소재에 존재하는 나노기공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인 기체흡탈착법(Gas absorption-desorption method)은 흡·탈착하는 기체가 드나들 수 있는 열린기공만 탐지할 수 있어서 근본적으로 닫힌기공을 포함 총 기공 분석이 불가능하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X-선/중성자 소각산란기술을 활용했다. 소각산란기술은 소재에 X선 혹은 중성자선을 투과시켜 발생하는 소각영역(low-angle)의 산란패턴을 관찰해 1-300nm 크기의 나노구조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소재를 투과하며 데이터를 획득하기 때문에 열린기공은 물론 닫힌기공까지 포함한 소재 내 총 기공의 크기분포 및 기공률을 정량분석 할 수 있는 고도분석 기술이다.

고려대-KIST 윤영수 교수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 진형민 교수는 나트륨이차전지에서 음극재로 쓰이는 하드카본의 특이적으로 높은 저장용량을 규명하기 위해 나노기공분석법을 바탕으로 나트륨이온의 저장위치로 예상되는 나노기공의 크기분포 및 총 기공도를 성공적으로 분석했으며, 실제 나노기공의 비부피와 나트륨이온의 저장용량이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 미세결함(기공)의 정량 분석을 주도한 진형민 교수는 “소각산란을 활용한 정량기공 분석은 1-300nm 범위의 기공을 갖는 모든 소재의 분석이 가능하며, 닫힌기공을 포함한 모든 기공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강력한 분석법으로, 이차전지 소재 외에 low-k 반도체 소재, 열 절연재, 세라믹 및 금속 소결체 등 기공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산업군에서 난제해결을 위해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