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에서, 역대 처음으로 조선시대 대규모 기와가마터 발굴
이부윤 | 기사입력 2011-06-28 22:25:26
단양 현천지역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기와 가마터/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단양=타임뉴스] =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원장 우종윤)에서는 충북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단양읍 현천리를 잇는 단성소재지 진입도로 개설공사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중 구석기 유물층과 함께 중원지역 최대 규모의 조선시대 대규모 기와가마터를 확인했다고28일 학술회를 통해 밝혔다



구석기 유물층은 기와가마의 생산활동과 관련하여 많은 부분이 훼손되었으나, 여러면석기·몸돌 등의 석기가 출토되는 유물층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유물층의 절대연대는 30,680년으로 측정되어 하현천유적 맞은편에 위치한 수양개 구석기유적과 비교된다.

기와가마는 모두 19기가 확인되었는데, 가마의 구조적 특징 및 평면형태로 볼 때 사다리꼴 형태의 지하식 기와가마 7기, 타원형태의 반지하식 기와가마 12기가 조사되었다. 이처럼 한 곳에서 조선시대에 조성된 19기의 기와가마가 찾아진 것은 중원지역에서는 처음 확인된 자료로서, 남한강변에 위치한 하현천 마을에 대규모 기와 생산시설이 있었음을 알게되어 주목된다.



지하식 기와가마는 길이 10∼15m 정도로 대형에 속하며, 해발 145m쯤에 4∼6m 사이를 두고 일정한 간격으로 조성되어 있어, 기와가마 조성 당시 매우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천정부 일부가 남아 있어 조선시대 중~후기의 기와가마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기와가마 내부에서는 청해파문(靑海波紋)이 시문된 기와가 대량으로 출토되어 조선 중∼후기에 기와 생산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판단된다.

반지하식 기와가마는 길이10m 이하의 중형 규모로, 해발 140m선 아래에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어, 지하식 기와가마와 입지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가마 내부에서 집선문(集線文), 복합문(複合紋) 계통의 기와가 출토되어, 반지하식 기와가마는 조선시대 전기에 조업활동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기와가마는 입지면으로 볼 때 단양 적성산성에서 북쪽의 남한강을 따라 길게 뻗어내린 능선 하단부에 위치하며, 기와가마의 조성시기는 능선 사면 상부(해발 145m지점)에서는 조선시대 중∼후기의 기와가마가, 능선 사면 하부(해발 140m이하)에서는 조선 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기와가마가 확인되고 있어, 기와가마의 운영은 남한강과 가까운 능선 아래쪽에서 시작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능선 위쪽으로 올라가며 계획적으로 조성하여 운영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조사는 도로건설에 따른 제한된 범위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에 대규모 요업단지와 관련한 공방, 수비시설, 채토장 등 관련 부속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지역을 가로질러 일제강점기 중앙선 철도의 개설과 1980년대 중반 충주댐 건설에 따른 지형변화로 인해 유구가 일정부분 훼손되었음이 확인되고 있으나, 지형변화가 덜 이루어진 능선 동사면부(죽령천 변)쪽을 조사하면 기와가마 뿐만아니라 관련 부속시설물도 찾아질 가능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단양 하현천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양개 후기 구석기문화보다 앞서는 후기 구석기시대 이른시기의 문화가 확인되어, 남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체계화를 위한 고고학 자료를 확보하였다.

2. 조선시대 대규모 기와 생산시설이 조사되었는데, 이는 중원지역에서 확인된 최대 규모의 기와 생산시설로, 당시 하현천지역에 대규모의 요업생산단지가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 출토된 기와 중 “仲巳” “五月造” 등의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와공과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으며, 와당이 출토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다.

4. 조선시대의 대규모 기와가마유적이 확인된 점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조선시대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기와가마 구조의 변천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당시 기와생산과 소비, 유통에 대한 문제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1] 단양 하현천 유적 전경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2] 단양 하현천유적 전경 - 대규모 기와가마터 확인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3] 단양 하현천유적 1·2호 기와가마 모습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4] 단양 하현천유적 1~4호 기와가마 모습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5] 하현천 유적 4호 기와가마 소성실 내부 모습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6] 단양 하현천 유적 3호 기와가마 출토 토제품(추정 벼루)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7] 단양 하현천 유적 10호 기와가마 출토 명문기와(仲巳, 五月造)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사진 8] 단양 하현천유적 구석기 유물포함층 출토 석기(몸돌,여러면 석기) /사진=한국선사문화연구원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