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북구 망월묘역(민족민주열사 묘역)을 방문해 전두환 비석을 밟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북구 망월묘역(민족민주열사 묘역)을 방문해 전두환 비석을 밟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북구 망월묘역(민족민주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북구 망월묘역(민족민주열사 묘역)을 방문해 전두환 비석을 밟고 있다.연합뉴스
[타임뉴스] 김이환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5·18 민주화운동 43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1박2일 일정으로 광주를 찾았다. 이날 오후 광주 첫 일정으로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찾아 고개를 숙였다.
검은 양복 차림의 이 대표는 먼저 1987년 민주화운동 중 의문의 변사체로 발견됐던 이철규 열사 묘에 분향하고, 고인이 자신과 나이가 같다는 설명에 "우리 다 동시대인인데…"라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1986년 반전·반핵 운동 중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분신한 이재호 열사 묘역 앞에 다다랐을 땐 "제가 신림동에 있을 때 벌어진 일"이라고 당시 사건을 떠올리기도 했다.
이 대표는 배 여사 묘역으로 이동하던 중 출입로 바닥에 묻힌 이른바 '전두환 표지석'을 지르밟고 지나갔다.
전두환 표지석은 전씨가 1982년 전남 담양군 마을을 방문한 것을 기념해 세웠던 것인데, 광주·전남민주동지회가 1989년 이를 부순 뒤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도록 이곳에 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