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농가와 방역당국의 한숨 돼지열병·AI·화상병에 구제역까지…
안영한 | 기사입력 2023-05-12 08:35:57

구제역 발생한 청주 한우 농장 연합뉴스


[충북타임뉴스] 안영한 기자 = 일년 반이 지나도록 계속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야생멧돼지의 위협 속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어 과수화상병과 구제역이 동시에 터지는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12일 충북도에 따르면 전날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소재 한우농장 4곳에서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나왔다.

국내에서 구제역 발생이 확인된 것은 2019년 1월 31일 이후 4년 4개월여 만이다.

당시 마지막 발생 지역 역시 충북 충주였다.

방역당국은 구제역 발생농장에서 사육하는 소 500여마리를 살처분하는 한편 청주는 물론 인근 보은·괴산·증평·진천지역의 우제류(소, 돼지, 양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 사육농장에 대해 긴급 백신 접종을 실시하는 등 확산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불과 이틀 전 충주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터졌던 터라 방역당국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사과·배 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화상병은 치료제가 없는 세균성 전염병으로, 확진 판정이 나면 해당 과수원은 폐원해야 한다.

전날까지 도 농업기술원이 집계한 감염 건수는 충주 3건, 진천 1건이다.

이들 과수원의 피해 면적은 1.55㏊이다.

충북은 매년 과수화상병으로 상당한 피해를 봤다.

최근 5년간 통계를 보면 2018년 35건 29.2㏊, 2019년 145건 88.9㏊, 2020년 506건 281㏊, 2021년 246건 97.1㏊, 지난해 103건 39.4㏊에 이른다.
충북은 지난해 말 AI로도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특히 과수화상병이 고온다습한 날씨에 확산세가 커지는 만큼 여름철을 앞두고 발생, 과수원과 인접한 시·군을 중심으로 예방 관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0월 2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진천, 청주, 충주 9개 가금농장에서 AI가 잇따라 터졌다.

이로 인해 가금류 63만8천300마리가 살처분됐다. 당시 전국에서 25건의 AI가 발생했는데, 전체 살처분량(140만3천500마리)의 45%에 달했다.

여기에 해를 넘기며 계속되는 ASF 방역은 축산농가와 당국의 피로감을 더욱 키운다.

2021년 11월 19일 단양에서 도내 첫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발견된 이후 이달 7일까지 누적 감염 개체 수는 403마리에 이른다.

시·군별로는 단양 146마리, 충주 95마리, 제천 76마리, 보은 73마리, 괴산 12마리, 음성 1마리다.

감염 멧돼지 발견 지역을 고려할 때 ASF 바이러스가 전방위로 퍼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방역당국은 바이러스가 양돈농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자 야생동물 기피제 살포와 울타리 설치, 관련 종사자 산행금지, 쪽문 폐쇄, 농장방문 차량 소독 강화 등에 나서고 있으나 최근 기온 상승에 멧돼지 활동량이 증가해 방역의 고삐를 더 죄어야 하는 실정이다.



광역시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수원타임뉴스과천타임뉴스광명타임뉴스고양타임뉴스파주타임뉴스김포타임뉴스부천타임뉴스의정부타임뉴스포천타임뉴스양주타임뉴스동두천타임뉴스연천타임뉴스남양주타임뉴스구리타임뉴스안양타임뉴스시흥타임뉴스군포타임뉴스용인타임뉴스오산타임뉴스화성타임뉴스평택타임뉴스안성타임뉴스성남타임뉴스경기.광주타임뉴스하남타임뉴스이천타임뉴스여주타임뉴스양평타임뉴스안산타임뉴스의왕타임뉴스가평타임뉴스원주타임뉴스동해타임뉴스양양타임뉴스속초타임뉴스강릉타임뉴스강원,고성타임뉴스인제타임뉴스양구타임뉴스철원타임뉴스화천타임뉴스춘천타임뉴스평창타임뉴스정선타임뉴스영월타임뉴스태백타임뉴스횡성타임뉴스삼척타임뉴스청주타임뉴스진천타임뉴스음성타임뉴스증평타임뉴스영동타임뉴스옥천타임뉴스보은타임뉴스단양타임뉴스제천타임뉴스충주타임뉴스괴산타임뉴스천안타임뉴스당진타임뉴스서산타임뉴스금산타임뉴스논산타임뉴스계룡타임뉴스홍성타임뉴스청양타임뉴스서천타임뉴스보령타임뉴스예산타임뉴스부여타임뉴스공주타임뉴스연기타임뉴스아산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포항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도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영천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울릉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고령타임뉴스성주타임뉴스경산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창원타임뉴스양산타임뉴스함양타임뉴스산청타임뉴스거창타임뉴스창녕타임뉴스의령타임뉴스밀양타임뉴스김해타임뉴스하동타임뉴스진주타임뉴스남해타임뉴스사천타임뉴스경남,고성타임뉴스통영타임뉴스거제타임뉴스함안타임뉴스진해타임뉴스합천타임뉴스전주타임뉴스부안타임뉴스정읍타임뉴스무주타임뉴스장수타임뉴스임실타임뉴스순창타임뉴스남원타임뉴스군산타임뉴스익산타임뉴스진안타임뉴스완주타임뉴스고창타임뉴스목포타임뉴스나주타임뉴스함평타임뉴스영광타임뉴스장성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구례타임뉴스고흥타임뉴스보성타임뉴스무안타임뉴스진도타임뉴스완도타임뉴스해남타임뉴스신안타임뉴스강진타임뉴스장흥타임뉴스영암타임뉴스화순타임뉴스